2025-08-14
2025년 2분기 당사는 사상 최대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최대 분기 실적의 기록을 경신하였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5.5% 상승한 2,158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66.3% 상승한 529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작년 2분기 아티스트 활동 공백으로 인한 낮은 기저효과로 당기순이익 또한 전년 대비 2,734.4% 증가한 363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5년 2분기 주요 아티스트의 글로벌 탑 아티스트로서의 입지 강화와 함께 Stray Kids가 K-POP 역사상 최대 규모의 투어를 진행하며 사상 최대 매니지먼트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2분기 DAY6의 월드 투어 16회, Stray Kids의 중남미 6회, 일본 4회, 그리고 북미에서 13회의 총 23회 대규모 스타디움 공연, 그리고 북미 공연의 초과 수익 정산 추정분이 반영되며 전년 동기 대비 342.3% 증가한 역대 최대 공연 매출 620억원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써내려갔습니다.
TWICE, Stray Kids, NMIXX 등 당사 아티스트의 글로벌 인지도 및 매스 저변 확대로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이 강화되며 광고 매출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2.4% 확대된 역대 최대 매출 113억원을 경신하였습니다. 출연 매출은 NMIXX의 2분기 대만, 홍콩,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호주에서 진행한 총 11회 팬콘서트의 모객수와 회차가 확대되며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한 사상 최고 출연 매출 97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NMIXX는 2024년 10월부터 팬콘서트를 진행하며 글로벌 코어 팬덤을 공고히 하였고 올해 11월 첫 단독 콘서트를 앞두고 있습니다.
주요 아티스트의 대규모 공연과 함께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라이선싱 협업 진행으로 MD 매출 또한 전년 동기 대비 355.9% 상승한 역대 분기 최대 MD 매출 669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분기 MD 매출에는 Stray Kids의 대규모 월드 투어 공연 MD, 팬미팅 온라인 MD, DAY6 공연 MD와 함께 글로벌 IP 라이선싱 협업으로 진행된 Stray Kids의 캐릭터 ‘SKZOO’ 다마고치 콜라보 MD, TWICE의 일본 데뷔 8주년 기념 캐릭터 ‘LOVELYS’와의 산리오 팝업 콜라보 MD 등이 반영되었습니다. 일본 지역 판매 호조로 일본 MD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5.9% 증가한 210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2분기 ITZY, NEXZ, KickFlip의 신보 발매와 Stray Kids의 일본 음반이 발매되며 음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6% 확대된 271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음원 매출은 지난 2024년 4분기 중국 음원 매출이 일시 반영된 효과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10.2% 감소한 115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그 외 기타 세그먼트 또한 국내 팬클럽 중심의 매출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16.5% 성장한 역대 최대 매출 274억을 달성하였습니다.
주요 아티스트의 재계약 영향에도 역대 최대 매출을 기반으로 한 레버리지 효과로 수익성을 확대하였고 코어 팬덤을 기반으로 한 Monetization 전략을 증명해 보였습니다. 아티스트 재계약 및 매니지먼트 세그먼트 매출이 확대되며 원가성 지급 수수료는 전년 동기 대비 209.4% 확대된 643억원이었습니다. 콘텐츠 제작비는 국내 공연 제작비와 아티스트 앨범 발매로 전년 동기 대비 65.4% 상승한 270억원이었습니다. 원가성 비용 증가에도 높은 매출과 규모의 경제 효과로 인한 레버리지가 동반되며 GP 마진은 전년 동기 대비 7.0%pt 개선된 41.8%를 달성하였습니다.
영업이익 또한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 529억원을 달성하며 영업이익률은 14.8%pt 개선된 24.5%를 기록하였습니다. 역대 최대 분기 매출 달성과 함께 자회사 블루개러지의 수익성 또한 제고되며 수익성을 확대하였습니다.
다음은 아티스트별 주요 활동 전망과 투자 하이라이트 말씀드리겠습니다.
JYP엔터테인먼트는 주요 아티스트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국내외 저연차 아티스트의 코어 팬덤을 더욱 공고히 나가며 확장하는 동시에 핵심 사업 중심의 사업 역량 고도화를 통해 중장기적 성장을 지속해 나가고자 합니다.
DAY6는 23개 지역에서 진행한 총 45회의 역대 최대 규모의 세번째 월드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 8월부터 데뷔 10주년 기념 월드투어를 진행할 계획으로 국내 밴드 사상 최초로 고양 종합 운동장에 입성하며 K-POP 대표 밴드로서 위상을 굳히고 있습니다. 또한, 9월에는 정규 앨범 발매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TWICE는 7월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를 시작으로 여섯번째 월드투어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해당 공연은 전 지역 모든 개최지 공연장 좌석을 360° 풀 개방하여 무대와 객석 간 경계를 허문 한차원 높은 공연으로 2025년말까지는 아시아 지역 중심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2026년에 북미와 유럽 등 추가 지역에서 투어를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7월 발매한 정규 4집 앨범은 ‘빌보드200’에 7회 연속 Top10에 진입하여 K-POP 걸그룹 빌보드 200 최다 Top10 진입의 기록을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케이팝 데몬헌터스’에 삽입된 ‘Strategy’와 ‘TAKEDOWN’ 2곡이 빌보드 핫 100내 차트인하며 자체 최고 순위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9월에는 채영의 솔로 앨범 또한 발매 예정으로 활동 다변화와 글로벌 아티스트의 콜라보레이션 활동을 지속하며 글로벌 최정상 걸그룹의 입지를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최근 ‘롤라팔루자 시카고 2025’의 헤드라이너로도 출연하였고 8월에는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TME)가 주최하는 Tencent International Music Award(TIMA) 시상식에도 출연할 예정입니다.
Stray Kids의 경우, K-POP 역대 최대 대규모 월드투어를 34개 지역에서 54회를 성공적으로 성료하였습니다. 작년부터 진행된 월드투어는 북미, 유럽, 남미 등의 27개 스타디움 중 절반 가량에 해당하는 13개 스타디움에서 각종 최초 입성, 최대 규모 등 최다 성과를 기록하며, 새로운 K-POP의 역사를 썼습니다. 8월 22일에는 새로운 정규 4집 앨범을 발매할 예정이며, 하반기 한국 앵콜 공연과 함께 추가적인 앨범 발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ITZY는 6월 미니 앨범 발매로 컴백한 이후, 9월과 10월 한국과 일본에서 공식 팬미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8월 TIMA 시상식 출연과 함께 APPLE TV+에서 방영하는 음악 경연 시리즈 ‘KPOPPED’에도 출연할 예정입니다. 또한, 중국 현지에서는 TME와 협업하여 디지털 포토카드를 출시하는 등 글로벌 팬덤을 기반으로 다양한 활동을 활발히 펼쳐나가고 있습니다.
NMIXX는 12개 지역에서 21회 진행한 두번째 팬콘서트를 성황리에 마무리하였고 올해 11월 첫 단독 콘서트를 준비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한 층 높이고 있습니다.
올해 데뷔한 KickFlip은 5월 미니앨범을 발매하고 9월 추가 미니 앨범 발매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롤라팔루자 시카고 2025’와 ‘서머소닉 2025’ 도쿄, 오사카, 방콕 등의 글로벌 페스티벌에 입성하며 글로벌 코어 팬덤을 쌓아 나가고 있으며, 8월 TIMA 시상식에도 출연할 예정입니다.
NiziU는 일본 내 자체 최대 규모 라이브투어를 개최 예정이며, 하반기 음반 발매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NEXZ는 7월 일본 미니 앨범 발매 이후, 총 18회의 일본 전국 라이브 투어 활동을 활발히 펼쳐나가고 있으며 10월 한국 미니 앨범 발매도 앞두고 있습니다.
당사 중국 법인과 TME가 합작 설립한 북경신성엔터테인먼트 소속 보이그룹 BOY STORY의 멤버가 현재 엠넷에서 방영 중인 K-POP 보이그룹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보이즈 2 플래닛’에 출연하며 시청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뻔푸소년CIIU는 8월 정식 데뷔를 앞두고 있으며 8월 Tencent International Music Award(TIMA)와 Tencent Music Entertainment Awards(TMEA)에서 첫 데뷔 무대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또한 북경판링문화미디어 소속 야오천도 다수의 대형 뮤직 페스티벌에서 활약하는 동시에 현지 파트너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연기 활동을 정식 개시하였습니다.
글로벌 걸그룹 VCHA는 GIRLSET으로 리브랜딩하여 렉시, 카밀라, 켄달, 사바나 총 4명의 멤버로 8월말 컴백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6년에는 라틴 현지화 프로젝트 등 남미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자 하며 글로벌 top-tier 파트너사와의 협력 강화 및 다각화를 통해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당사는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사업 역량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자 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역량 증대를 위한 본부 체제의 멀티 레이블 체계 및 구조를 공고히 하고, 2026년 새로운 신인 데뷔를 통해 아티스트 라인업 다변화함과 동시에 AI 아티스트 등 테크 혁신을 통해 사업을 다각화 해나가겠습니다.
공연의 경우, Live Nation과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가며 공연 사업의 글로벌 역량을 고도화해 나가겠습니다. TWICE의 아이돌 그룹으로서 최초 진행하는 360° 공연 등의 크리에이티브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주요 시장에 최적화 된 글로벌 전략을 수립하여 이행해나가고자 합니다.
MD의 경우, 미국, 중국 등의 구매력이 확인된 지역에서 주요 파트너사들과의 협업을 확대하며, 글로벌 기업들과의 IP 라이선싱 사업을 전개해 나가고자 합니다. MD 사업 조직을 신설하여 팬들의 니즈를 다방면으로 충족할 수 있는 다채로운 MD 상품들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아티스트의 캐릭터 MD 등 상품을 다변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기존 예약 판매로만 진행되었던 일부 MD를 상시 판매로 확장하는 등 판매 전략, 온/오프라인 유통 및 판매 채널에 대한 효율화 또한 진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기획 - 제작 - 유통 - 판매 전체 과정을 글로벌 향으로 재정비하고, 팝업 스토어 등을 효율화 해나가는 등 MD 전략을 견고히 하는 동시에 지속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기존 JYP SHOP으로 운영되던 e-Commerce 플랫폼을 이번 4월 FANS 앱 내 FANS SHOP으로 통합화 및 내재화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와 e-Commerce 통합에 따라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팬들에게 구매 접근성을 높이고 e-Commerce 이용자들에게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키는 등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팬들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맞춤 기능들을 단계적으로 제공하여 immersive한 팬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기존 외주 업체를 통해 운영되었던 JYP SHOP을 FANS SHOP으로 내재화하며 수수료를 절감하였습니다. 또한, 재고 관리 및 물류 최적화 등의 전반적인 supply chain 효율화를 진행하여 수익성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3분기에는 구독 기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유료 통합 멤버십 형태로 론칭하여 글로벌 팬들에게 보다 가치 있는디지털 혜택을 제공하며 팬덤 경험을 향상해나가겠습니다.
JYP 엔터테인먼트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먼저, 산업 전반의 앨범 감소 추세에도, 캐릭터 IP 연계 등 다변화 된 결합형 앨범을 출시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8월 Stray Kids의 캐릭터 ‘SKZOO’를 활용한 인형 형태의 앨범 출시를 준비 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각 아티스트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결합형 앨범을 출시하며 추가적인 매출 확대의 기회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MD의 경우 앞서 말씀드린 대로 미국/중국 등의 주요 시장과 투어를 통해 실질적 구매력이 확인된 잠재 시장 대상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중국 현지에서 TME와의 협업을 강화하며 7월에는 ITZY의 디지털 스타카드를 QQ뮤직에 론칭하였고, 하반기에는 FANS SHOP과 TME의 공식 제휴몰을 론칭하기 위해 준비중에 있습니다.
FANS 플랫폼은 하반기 유료 구독형 디지털 멤버십을 론칭할 예정이며, 멤버십 전용 라이브 콘텐츠와 MD 선예매 등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혜택을 선보이고자 합니다. 라이브 기능은 유료 구독형 멤버십 이용자 대상으로만 제공할 계획이며, 기술 최적화 등을 통해 비용 효율화에 집중하여 운영해 나가고자 합니다. 구독형 멤버쉽 도입을 통해 팬덤 대상 플랫폼 가치를 강화하고 앞으로도 효용 높은 디지털 혜택을 팬들에게 선보이며 다채로운 글로벌 팬 경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2025년에 예정된 주요 앨범과 공연 계획입니다. 해당 장표에 공개된 앨범과 공연의 세부 일정은 현재까지 공식 계정과 언론을 통해 공개된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